본문 바로가기

잡학다식 꿀팁

4.19 혁명 간단 정리 , 초등학생(국민학생들도 시위에 참여하였다.)

반응형

4.19혁명은 1960년 4월 19일 당시 이승만정권(1~3대 대통령,1공화국,자유당 소속)에서 

정권유지를 위해 권력자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 시키려

부정선거 및 개표조작을 했던 사건이다.

(지금의 보수세력이라 볼수 있음)


이에 국민들은 반발하여 엄청난 시위가 일어나고 

정권은 입막음을 목적으로 시위대를 탄압하였다


당시 군인과 경찰의 모호했던 시절이라

총을 들어 시위대를 저지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때 마산상업고의 김주열 학생이 실종된지 27일만에

마산 앞바다에서 


왼쪽눈이 경찰이 쏜 최루탄이 박힌채 떠오르자

이를 부산일보가 보도 하였고


전국적으로 시위는 확산된다.



당시 시위는 국민학생(현 초등학생)도

역시 참여 했는데 부모에게 총부리를 겨눈 당시 정부에 대한 

격한 반항? 이였다.


그날 4.19일 이승만 대통령 관저인 경무대에 몰려드는 시위대에게

경찰은 총을 격발 발포 했다.


이후 시위대는 도망가는 한편 일부 사람들이

경찰 군경의 총을 빼앗아 


결국 시민과 경찰 군경은 총격전을 벌이게 되어

수 많은 사상자를 발생하게 했다.


이어 전국민적 저항에 군지휘부에서는

갈등에 휩쌓이다 결국 무력동원을 거부하는 사태로 이어지고 


4월26일 이승만 대통령은 결국 대통령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이 혁명의 결과로 과도 정부를 거쳐 

6월15일 개헌을 통해


대한민국 제 2공화국이 시작된다.


4대 대통령 윤보선 -> 5대이후 박정희



최근 보수단체들의 전두환 명예훼손 재판을 이유로 삼아

광주 초등생들을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봤듯이 초등생 역시 대한민국 국민이며 

하나 하나의 발언자권자의 몫을 하고 있다.


초등학생 역시 미래의 투표권자이다.


반응형